대기오염
실시간 대기오염정보 바로가기 새창
서울시 자원회수시설 바로가기 새창
대기관련 용어
-
㎍/㎥(마이크로그램)
대기오염물질중 입자상물질단위로 1입방미터당 백만분의 1그램
-
SO₂(Sulfur dioxide, 아황산가스)
연료에 함유된 황성분이 연소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되며 생물체내에 흡수되면 황산(H2SO4)으로 변화되어 호흡기세포를 파괴
-
TSP(Total Suspended Parficle, 총먼지)
대기중에 떠다니는 직경 0.01㎛~수십㎛에 이르는 모든 입자상물질로 호흡시 인체에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질환을 발생
-
PM-10(Particulate Matter, 미세먼지)
직경 10㎛이하의 미세먼지로 호흡시 인체에 침투되기 쉬운 먼지
-
스모그(Smog)
연기(Smoke)와 안개(Fog)의 합성어로 공장이나 자동차, 가정의 굴뚝등에서 나오는 매연이 안개와 섞여 있는 상태
-
광화학스모그
아황산가스, 질소산화물, 탄화수소 등 1차 오염물질이 수증기가 있는 상태에서 태양의 자외선을 받아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
-
O₃(Ozone, 오존)
대기중의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이 태양에너지를 받아 광화학반응 시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로 광화학스모그 생성원인이 되며 주된 배출원은 자동차 배출가스 이다.
-
오존경보제
대기중 오존의 농도가 일정기준이상 높게 나타났을 때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지역거주 주민들의 건강과 생활환경 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되는 제도
-
NOx(질소산화물)
일산화질소, 이산화질소 등 질소산화물의 총칭으로 고온에서 연소시 공기중의 질소가 산화되어 발생되며 주로 자동차 배출가스에 많음.
-
CO(일산화탄소)
연료의 연소시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며 자동차배출가스, 연탄가스에 다량 함유.
-
HC(탄화수소)
메탄, 프로판등 탄소와 수소로 결합된 모든 물질을 말하며 자동차배출가스에 다량 함유.
-
LPG(Liquefied Petroleum Gas, 액화석유가스)
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초기의 가스성분을 가압하여 액화시킨 연료.
-
LNG(Liquefied Natural Gas, 액화천연가스, 도시가스)
지하에 매장된 천연가스를 -162℃까지 냉각하여 액화시킨 연료
-
환경기준
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고 생활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기준임. 대기, 수질, 소음, 진동에 대한 기준을 두고 있으며,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하고 있음. 환경기준은 규제기준이라기보다 정부가 지향하는 일종의 목표기준임
-
권고기준
법으로 규정된 기준은 아니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일정수준이하로 권장하는 수치
-
산성비
대기중의 CO₂는 건조중에 0.33% 존재하고 있어 오염되지 않은 빗물중에는 CO₂로 포화되어 있으며, 탄산은 빗물중에서 해리해서 상온에서 pH 5.6정도임. 일반적으로 빗물의 pH가 5.6보다 낮을 때 산성비라고 하고, 자연발생 되는 유황, 질소, 염소의 화합물이 산성비와 관계있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