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역소독
방역소독
방역취약지역 및 시설물 방역소독
- 기간 : 연중(*5~10월 집중방역 소독)
- 방법 : 주 1회 이상 살충 · 살균소독 또는 방역물품 지원
- 대상 : 관내 공공 방역취약 지역 및 시설(경로당, 공중화장실, 쓰레기 적치장, 하수구, 기타 감염병 발생장소 및 발생우려 지역 등), 유충구제시설(정화조, 빗물받이, 집수정, 고인물, 웅덩이 등의 수계 시설)
- 소독방법 : 친환경 유충구제, 분무소독(살균, 살충), 초미립자살포(ULV) 등
- 문의 : 생활보건과 감염병관리팀 ☎ 02-2116-4345~4346
동절기 월동모기 서식지 조사 및 방제
- 기간 : 11월~3월
- 대상 : 관내 정화조, 집수정 등 , 모기 다발생 민원지역 등
- 방법
- 공동주택, 대형건물 지하 정화조, 집수정 모기유충구제
- 모기 및 바퀴벌레 다발생 지역 정화조 선제 방역
- 소독의무대상시설 동절기 모기유충구제 일제 방제 협조 요청
- 모기유충 서식지 조사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주제도 작성
- 문의 : 생활보건과 감염병관리팀 ☎ 02-2116-4345~4346
모기채집 유문등 디지털 모기측정기 설치 운영
기간: 4월 ~ 11월
설치장소
구분 | 설치장소 1 | 설치장소 2 | 운영방법 |
---|---|---|---|
모기채칩 유문등 | 노원구 노해로 437 (상계동) | 노원구 공릉로55길 138 (하계동) | 모기채집 분석의뢰 (보건환경연구원) |
디지털모기 측정기 | 노원구 마들로 1가길 (월계동) | 노원구 동일로 186길 3-24 (공릉동) | 서울시 모기예보제 운영에 따른 설치 |
- 운영활용
- 말라리아, 일본뇌염 등 감염병 발생 사전 예측 활용
- 서울시 모기 예보제 운영에 따른 자치구 모기발생 현황 모니터링
문의 : 생활보건과 감염병관리팀 ☎ 02-2116-4345~4346
최종수정일 : 2020-02-17 14:11: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