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0세 건강도시 노원
추진 배경
지속가능한 건강 친화도시 조성의 필요성 대두
- 건강문제의 복잡성 증가 및 심화되는 환경·재난 문제
- 만성질환, 비만, 건강불평등, 고령화 등 건강문제의 복잡·연계성 증가
- 심화되는 환경문제(미세먼지, 기후변화 등)는 기존의 보건의료문제를 악화시키고,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킴
- 건강의 포괄적(사회적) 결정요인에 대한 접근 필요
-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'건강하게 오래살기' 사회적 관심 증가
- 다양한 건강 콘텐츠·인프라 구축 및 건강도시 정책 추진 필요
- 서울시 23개 자치구가 건강도시 관련 조례 제정 및 건강도시 사업 추진 중
- WHO 건강 패러다임에 따른 국내·외 정보교류 연결망 구축 필요
- 서울시 대부분의 자치구가 국내·외 건강도시 협의체 가입 활동 중
기반구축
- 건강도시 관련 조례 제정
- 조 례 명 :「서울특별시 노원구 건강도시 기본 조례」
- 법적근거 : 국민건강증진법 제3조 및 제6조, 지역보건법 제3조
- 제정이유
- 구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도시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
- 주요내용
- 조례제정의 목적 및 용어 정의, 건강도시 기본원칙 및 계획수립
- 건강도시 운영위원회 설치 및 사업 수행에 따른 지원 등
- 건강도시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
- 근거 : 「서울특별시 노원구 건강도시 기본 조례」
- 위원회 개요
- 구성 : 위원장, 부위원장을 포함한 15명 이내(관련 전문가 등)
- 기능 : 건강도시 정책 방향 및 추진, 부문 간 협력·조정 등에 관한 자문
- 지역사회 현황 분석 및 건강지표 관리
- 목적 : 건강도시 목표 설정을 위한 지표 개발 및 관리
- 추진내용
- 지역사회 건강 현황 분석(연구용역)을 통한 중점 추진 과제 도출
-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의 건강도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우리구 실정에 맞는 지표 개발 및 실적 관리
최종수정일 : 2020-04-20 16:36:3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