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, 협치노원
'협치'의 의미는 무엇일까요?
일방적 행정은 이제 그만 ~!
협치란 지역주민이 우리 동네와 주민을 위해 필요한 사업은 어떤 것이 좋을지 직접 발굴하여 의제를 만들고,
행정의 다양한 경험과 예산을 통해 정책을 완성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.
더 많은 지역주민이 모여 공감하고 숙의한 의제를 주민과 행정이 손잡고 같이 실행하는 것,
같은 곳을 바라보며 함께 우리는 만들어 가는 것, 그것이 노원구가 바라는 '협치'입니다.


'협치'와 함께한 노원구의 발자취
- 노원구 마을공동체과 ‘협치지원단’ 신설(2018.9.)
- 서울특별시 노원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(2018.9.)
- 노원구협치회의 발족 및 협치위원 위촉(2018.10.)
- 노원구 지역사회혁신계획 3개년(2018-2020) 계획 수립
- 2019년 협치기반 구축 사업 및 부문별 15개 실행과제 완수
- 서울특별시 노원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개정(2020.9.)
- 협치노원사무국으로 명칭 개칭(2020.9.)
- 제 2기 노원구 지역사회혁신계획 3개년(2021-2023) 기본계획 수립
- 제 2기 노원구협치회의 40명 위촉(2020.11.)
- 2020년 협치기반 구축 사업 및 부문별 11개 실행과제 완수
- 2021년 협치기반 구축 사업 및 부문별 9개 실행과제 추진 중

2021년 협치기반 구축분야/부문별 실행과제
협치기반 구축분야
구축분야 | 구축내용 |
---|---|
협치조례 제정 |
서울특별시 노원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(2018.9.) |
협치추진 조직 확충 |
협치노원지원단 구성 및 운영(2018.2.) 협치 주무부서 '마을공동체과' 신설(2018.9.) |
노원구협치회의 구성 |
행정+민간위원 총 29명 위촉(2018.10.) |
참여예산 융합형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|
시 참여예산+구 협치회의 융합 "구단위계획형 지역사회혁신계획" 출범(2019.4.) |
협치의제 발굴 및 공론장 활성화 |
온·오프라인 의제발굴(2020. 4.~5.)/ 우선순위 선정 주민공론장 개최(2020.7월중) |
협치행정협의회 및 워킹그룹 활성화 |
2020년 11개 실행과제 워킹그룹 구성 및 활동(주민, 중간지원조직, 행정 130명) |
시민예산학교 운영 |
참여민주주의의 확산 및 민간 협치역량 강화 |
협치역량 강화교육 |
민관협치 이해 주민교육 기본·심화(2020.9.) / 민관협치 이해 공무원교육 기본·심화(2020.10.) |
협치친화적 인사제도 도입 |
노원구협치조정관 채용(2020.하반기) |
부문별 실행과제 (6개 부서, 9개 과제)
- 힐링노원 아트페스티벌
- 노원골 문화의 거리
- 당현천 사랑 나들이로를 주민들과 함께
- 청년, 마을과 만나 내일을 만나다.
- 갈등조정과 공존을 위한 유기‧반려동물 지원프로그램
- 노년이 행복한 웰다잉
- 아동의 목소리가 반영되고 실현되는 아동의회 구성
- 개성만점 우리동네 공원 가꾸기
- 녹색소비자, 기후변화에 책임지는 슬기로운 생활
협치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거나
더 많은 당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면?
지금 바로 협치 제안이 하고 싶다면
협치 와글와글로!
최종수정일 : 2021-02-17 09:39:20